반응형

ETF(Exchange Traded Fund)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을 말하는 것 입니다!

 

ETF란 무엇인가?

 

투자자들이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펀드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으로 인덱스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것 입니다!

 

 

최근에는 시장지수를 추종하는 ETF외에도 배당주나 거치주 등 다양한 스타일을 추종하는 ETF들이 상장되어 인기를 얻고있다.

 

 

KOSPI200, KOSPI50과 같은 특정지수의 수익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Index Fund). 인덱스 펀드와 뮤추얼 펀드의 특성을 결합한 상품인것 입니다. 2002년 처음으로 도입된 ETF는 인덱스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에 상장돼 일반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습니다.

 

 

 

좀더 쉽게 풀어 설명해보겠습니다! KOSPI200이나 특정 자산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펀드. 해당 주가지수에 편입된 주식의 바스켓(10개 이상의 주식 조합)과 동일하게 펀드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 발행된 주식이나 수익증권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해 일반 개인들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개별 주식처럼 매매가 편리하고 인덱스펀드처럼 거래비용이 낮습니다. 펀드에 비해 투자 정보를 파악하기 쉬운 장점이 있는 것 입니다.

 

 

ETF는 그 자체로 포트폴리오 투자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십개에 달하는 종목을 편입하고 있어서이며, 표준화된 상품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주식을 거래할 때보다 거래비용이 훨씬 적게 듭니다.

 


상품구성이 다양해 투자자들의 선택 범위가 넓다는 것도 ETF의 장점으로 꼽힙니다.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단기자금·유동자금·단기채권 ETF처럼 가격이 조금씩 올라가는 채권형 ETF를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런 상품은 채권 이자를 재투자하는데 주가가 느리지만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적극적인 투자자에겐 주가지수, 상품지수 등을 활용한 ETF가 알맞습니다. 파생상품을 활용한 레버리지 ETF와 같은 고위험·고수익 상품도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